Smart

[의학신문] 코로나19 속 ‘디지털헬스’ 급부상…2027년 글로벌 시장 582조원

암이란
2021-07-30
조회수 1022

코로나19 속 ‘디지털헬스’ 급부상…2027년 글로벌 시장 582조원


  • 기자명 이승덕 기자 
  •  
  •  입력 2021.07.30 13:15
  •  
  •  수정 2021.07.30 16:52
  •  
  •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바이오협회 “우리나라도 법제도 개선, 파트너십 구축으로 기술상용화 해야”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디지털헬스산업이 반사이익을 받아 급성장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법제도 개선과 파트너십 구축으로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국바이오협회가 30일 공개한 ‘코로나19 이후 급부상하고 있는 디지털헬스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이전부터 개발 중이던 헬스케어의 디지털화는 코로나19 이후 헬스케어 수요의 증가와 의료 인력 공급의 부족의 격차로 인해 단기간에 촉진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의료계 대면 진료는 원격의료로 대폭 전환되었으며, 팬데믹 이후 전 세계 사람들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진 영향으로 디지털헬스를 활용한 보건이 확대되고 있다.

2020년 글로벌 디지털 헬스 산업 규모는 1520억 달러(한화 약 174조원)였으며 2027년까지 5080억 달러(582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로 격리된 생활 속에서 환자나 일반인들은 각자 집에서 디지털치료제, 가상 임상시험 및 진료, 질병관리, 건강관리 등을 위한 다양한 디지털헬스 서비스를 활용하는 추세다.

2020년 한해에만 9만개 이상의 헬스케어 앱이 새로 서비스되며, 현재 35만개 이상의 앱이 사용되고 있다.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개발하는 디지털 헬스 서비스는 단순 건강관리 및 보조 수단을 넘어 질병 모니터링 등으로 고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운동&피트니스, 다이어트&영양에 대한 적용은 줄어드는 반면, 특정질병, 의료기관&의료보험 관련 활용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데, 특히, 정신질환, 당뇨 등 특정질병 관련 어플 이용률은 2015년 10%에서 2017년 16%, 2020년 22%로 급증하고 있다.

산업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헬스 기업에 투자된 규모는 2019년 77억 달러에서 2020년 146억 달러로 약 2배 증가했고, 2021년은 상반기에만 147억 달러가 투자돼 2020년 투자 규모를 이미 넘어섰다.

2021년 상반기 기업간 거래(M&A)는 48건의 메가딜(1억 달러 이상 투자)을 포함해 372건이 있었으며, 372건의 평균 거래 금액은 3960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2배 증가한 규모이다.

그중 가장 큰 규모는 5억 4000만 달러 규모의 다이어트/운동 관련 정보를 모아 건강관리를 도와주는 눔(Noom)에 대한 투자로, 현재까지 이뤄진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중 사상 최대 규모이다.

디지털헬스 기업 M&A는 2020년에 145건이, 2021년 상반기에 131건이 이뤄졌다. 2020년 8월 미국 최대 원격의료 서비스 회사인 텔라닥 헬스(Teladoc Health)는 미국 최대 원격 모니터링 기업인 리봉고(Livongo)를 185억 달러에 인수했다.

올해 4월,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의료기록 기술기업인 Nuance를 인수하는 등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같은 거대 IT기업들도 기존 이메일서버나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의 강점을 살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로 확장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기술에 비해 시장진출 규제로 디지털헬스케어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바이오협회는 분석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2020년 12월에 발간한 보고서 따르면, 우리나라 디지털 헬스산업 규모는 2019년 기준 6조 4257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바이오협회는 “국내에서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이미 광범위하게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실용화 가능한 수준에까지 이른 상황이나, 법 제도적인 문제에 부딪혀 상용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의료 기술력 및 높은 수준의 의료 정보화 인프라 구축에도 불구하고 시장 진출에 대한 규제 문제로 인해 미래 디지털 헬스 시장의 규모를 전망하기 쉽지 않다”고 분석했다.

정부에서는 원격의료 시범사업, 모바일 의료용 앱 안전관리지침, 의료기기와 개인용 건강관리 제품 판단기준,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등 다양한 규제개선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것.

바이오협회는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규제 개선에 대한 노력은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한 규제의 명확성을 확보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을 촉진함과 함께 이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는 점에서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문가들은 국내 디지털 헬스의 범주가 불확실하므로 우선 범위 정립이 필요하고, 건강보험 수가 적용, 의료기기 인허가 등 법 제도 개선과 의료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국내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며 “이해관계자들간 협의와 파트너십 구축 등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신시장을 조속히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승덕 기자
 


0 0